![[네트워크] 무선 LAN(Wi-Fi) 개요 및 보안 표준 정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dymC%2FbtsMCol3OOt%2FztLGpj5ZHE6tmCz4M1fAQK%2Fimg.png)
[네트워크] 무선 LAN(Wi-Fi) 개요 및 보안 표준 정리ComputerEngineering2025. 2. 17. 15:29
Table of Contents
1. LAN과 SSID
SSID (Service Set Identifier)
SSID는 특정 도메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의 고유 식별자.
보통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을 통해 평문 형태로 전달된다.
( 비콘 프레임은 Wi-Fi 네트워크에서 AP(Access Point)가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관리 프레임)
주요 용어
- AP (Access Point) : 무선 네트워크의 중앙 역할을 하는 장치
- STA (Station) :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예: 스마트폰, 노트북 등)
2. IEEE 802 시리즈
IEEE 802 시리즈는 LAN(Local Area Network) 표준을 위한 위원회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규격.
무선 LAN에 대한 표준은 IEEE 802.11이 담당.
IEEE 802.11 버전별 특징
802.11b (2세대 표준)
- 네트워크 구성 방식
- Infrastructure 모드 : 중앙 집중식 구조 (AP 필요)
- Ad-hoc 모드 : 기기 간 직접 연결 (AP 불필요)
- 보안 프로토콜 -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 RC4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했으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5분 내 해독 가능
802.11i (Wi-Fi 보안 강화 표준)
802.11i는 기존 802.11b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으로, Wi-Fi Alliance에서 인증을 관리합니다.
- WPA (Wi-Fi Protected Access)
- 4-way Handshake 방식을 사용하여 보안 강화
- WPA3 (최신 보안 표준)
- 타원곡선 암호(ECC) 기반 DragonFly Handshake 적용
- 기존의 PSK(Pre-Shared Key) 방식이 아닌 보다 안전한 방식으로 PTK 생성
3. 무선 네트워크 인증 방식
802.11 인증 모드
1) Enterprise Mode
- RADIUS 서버를 이용한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
- 802.1X 표준을 사용하여 인증과 키 분배 수행
- 사용자별 개별 패스워드 인증 지원
2) Personal Mode
- RADIUS 서버 없이 네트워크 접근 가능
- PSK (Pre-Shared Key) 방식을 활용하여 인증 수행
4. 무선 보안 프로토콜
TKIP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 WEP의 단기적인 보완책으로 개발된 프로토콜
- 보안 강화를 위해 패킷당 새로운 키를 생성하는 방식 적용
CCMP (Counter Mode CBC-MAC Protocol)
-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반 암호화 방식
- 기존 WEP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보안 구조 설계
5. WPA 보안 키 구조
WPA는 PMK (Pairwise Master Key)로부터 보안 키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
키 생성 예시
Key = Hash(PMK, Index)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WPA3와 같은 최신 표준을 적용하는 것이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
반응형
'Computer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포렌식 2급] 파일 시스템과 FAT32 (0) | 2025.03.05 |
---|---|
[인공지능 국제자격증] MS AI-900 취득 후기 (+꿀팁,벼락치기) (0) | 2024.01.08 |
[Topcit] 2023년 시험, 수준3_400점대 맞은 후기 (1) | 2023.11.27 |
[HTTP] http프로토콜의 request line, status line 형식 (0) | 2023.07.25 |
[네트워크] BBR congetsion control 알고리즘 (0) | 2023.06.15 |
노트북 와이파이 아이콘 사라졌을 때, 무선랜 드라이버 오류 해결법 (Intel 10, 43) (0) | 2023.06.12 |
@염염 :: 왕감자
공부하고 정리하는 기록모음